Man muss sich selbst seine Proben geben

G의 마케팅 노트/트렌드 읽기 3

[트렌드 읽기] 쌍방향 커머스의 시대, 라이브 커머스

최근 유통업계에서는 라이브 커머스(Live Commerce)가 가장 큰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라이브 커머스란 생방송(Live streaming)과 커머스(Commerce)가 결합된 용어로, 쉽게 생각하면 모바일로 볼 수 있는 홈쇼핑과도 유사합니다. CJ, 신세계, 롯데 등의 백화점 및 유통 기업들은 이러한 라이브 커머스에 발빠르게 참여하고 있으며, 네이버나 카카오 역시 라이브 커머스 플랫폼을 제공하며 성장하고 있습니다. 몇십 분 안에 1억이 넘는 매출을 달성하고, 실시간 시청자 역시 몇만 명에 달하는 라이브 커머스의 예시들은 앞으로도 이 시장의 밝은 전망을 보여줍니다. [라이브 커머스의 특징] 1. 쌍방향 소통 라이브 커머스가 가진 가장 큰 장점이기도 합니다. '라이브'로 진행되는 만큼, 시청자들..

[트렌드 읽기] 형이 왜 거기서 나와? 이색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마케팅 트렌드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라면, MZ세대 소비자의 특징 중 하나인 '펀슈머'라는 키워드는 이제 꽤 익숙하리라 생각합니다. 펀슈머는 재미(Fun)와 소비자(Consumer)의 합성어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데 있어서 '재미'를 중요한 기준으로 삼는 소비자들을 뜻합니다. 디지털 네이티브 MZ세대가 재미라는 가치를 추구하는 가장 대표적인 이유 중 하나는 바로 SNS입니다. 이들은 하나의 제품을 소비하더라도 자신에게, 타인에게 콘텐츠로 소비될 수 있는 경험을 중요시합니다. 이들이 개인 SNS에 특이하고 호기심을 자극하는 제품을 친구들과 공유하면, 자연스럽게 바이럴 효과로까지 이어질 수 있기도 합니다. 최근 기업들은 이러한 젊은 세대의 특성을 이용해 다양하고 색다른 콜라보레이션 시도를 하고 있습니..

[마케팅 트렌드] 2021년 1월 마케팅 트렌드&용어 정리

경영/마케팅 키워드 소셜라이징 지역 사회의 특성을 반영하며, 해당 지역의 주민들과 함께 상생할 수 있는 방식으로 공간을 디자인하고 기획하는 것. 사회공헌이라는 뜻도 가지고 있으며, 가벼운 의미로는 지역의 특색에 녹아들 수 있도록 브랜딩을 하는 것으로도 해석됩니다. 예) '시몬스'의 팝업스토어 기획 피보팅 '중심을 잡아주는 축을 옮긴다'는 스포츠 용어의 변화. 사업 전환을 뜻하는 경제 용어로, 코로나 상황에서 주로 몸집이 작은 스타트업들이 빠르게 사업 방향성을 전환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D2C 채널 판매자가 직접 스토어를 구축해 곧바로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방식의 채널. 이커머스의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으며, 개인 판매자들의 브랜딩을 보다 쉽게 구축할 수 있고 수수료가 저렴하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