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n muss sich selbst seine Proben geben

G의 마케팅 노트/트렌드 읽기

[트렌드 읽기] 쌍방향 커머스의 시대, 라이브 커머스

__아이__ 2021. 2. 2. 18:05

최근 유통업계에서는 라이브 커머스(Live Commerce)가 가장 큰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라이브 커머스란 생방송(Live streaming)과 커머스(Commerce)가 결합된 용어로, 쉽게 생각하면 모바일로 볼 수 있는 홈쇼핑과도 유사합니다. 

CJ, 신세계, 롯데 등의 백화점 및 유통 기업들은 이러한 라이브 커머스에 발빠르게 참여하고 있으며, 네이버나 카카오 역시 라이브 커머스 플랫폼을 제공하며 성장하고 있습니다. 몇십 분 안에 1억이 넘는 매출을 달성하고, 실시간 시청자 역시 몇만 명에 달하는 라이브 커머스의 예시들은 앞으로도 이 시장의 밝은 전망을 보여줍니다.

[라이브 커머스의 특징]

1. 쌍방향 소통
라이브 커머스가 가진 가장 큰 장점이기도 합니다. '라이브'로 진행되는 만큼, 시청자들과의 소통이 굉장히 활발합니다. 
"이 제품은 어떻게 매치해야 좋을가요?" "진행자분 체형과 맞지 않는데 입어도 괜찮을까요?" 등의 구체적이고 자세한 질문에도, 진행자가 바로 "입는 법을 직접 보여드릴게요."와 같은 답변을 하며 시청자와 질답을 주고받습니다. 

이러한 소통 과정은 바로 높은 구매 전환율로 연결됩니다. 진행자와 소통하면서 시청자들은 보다 자세하게 상품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으며, 제품에 대한 신뢰도도 자연스럽게 상승합니다. 이커머스의 구매 전환율이 0.3~1% 수준이라면, 라이브 커머스는 약 5~8%의 구매 전환율을 보인다는 결과가 이를 뒷받침해 줍니다.

나아가 '쌍방향 소통'이라는 특징을 활용해 몇몇 대기업들은 크리에이터(인플루언서)들, 혹은 연예인과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해 라이브 커머스를 열기도 합니다. 이미 두터운 팬층과 신뢰도를 확보한 이들에게 제품 홍보 및 라이브 커머스를 맡기면 구매전환율이 높아질 뿐 아니라 상품에 대한 인지도까지 자연스럽게 올라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1억이 넘는 매출을 기록한 먹방 크리에이터 '입짧은햇님'의 라이브커머스

2. 품목의 다양성
라이브 커머스로 판매되는 제품들은 그 산업군도 다양합니다. 일례로, 11번가는 BMW 더 뉴5시리즈의 라이브 커머스를 진행하기도, 티몬은 오피스텔 분양권을 판매하기도 했습니다.

이는 기업들이 라이브 커머스를 단순히 하나의 '판매 경로'로만 보지 않기 때문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라이브 커머스는 방송 시 시청자가 천 명, 많게는 수만 명 단위로 집계되며, 이는 자연스럽게 제품을 구매하지 않더라도 해당 시청자들에게 일종의 광고, 홍보 효과로 작용합니다.

3. 높은 효율
기업들이 점차 라이브 커머스를 찾게 되는 또다른 이유는 높은 효율성 때문입니다. 송출료, 수신료를 지불하며 많은 예산이 드는 TV광고, 홈쇼핑과는 달리 라이브 커머스는 단순한 촬영 장비와 플랫폼만 갖추면 누구나 방송이 가능합니다. 

이는 대기업들뿐 아니라, 개인 사업자들에게도 큰 기회로 작용합니다. 1인 마켓, 1인 미디어도 마찬가지로 같은 조건만 갖추면 언제나 라이브 커머스가 가능해졌기 때문입니다. 특히 개인 쇼핑몰을 운영하는 판매자들에게는 적은 비용을 들여 소비자와 소통하고 실제 착용샷을 보여주는 라이브 커머스를 통해, 신뢰도를 높이는 장치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라이브 커머스가 뜨는 이유]

이러한 특장점들을 갖고 있는 라이브 커머스는, 코로나19로 인해 대면 접촉을 피하고 온라인 구매를 선호하는 현재 소비자들에게 알맞는 창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며 비대면 서비스, 언택트가 일상이 된 사회에서 '오프라인 매장'처럼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지만 안전하게 온라인으로 구매할 수 있는 라이브 커머스는 그 자체로 소비자들에게 큰 매력입니다. 나아가 다양한 세대와 지역의 소비자층에게 폭넓게 다가갈 수 있는 라이브 커머스는 '뉴노멀' 사회에서 더욱 높은 가능성을 지닙니다.

 

[라이브 커머스의 발전 방향]

마지막으로 독특하고 새로운 시도를 보여준 라이브 커머스 예시, 그리고 라이브커머스의 발전 가능성이 될 수 있는 네이버 쇼핑라이브의 광고를 소개하며 마무리합니다.

(1) 실시간 쇼핑대결 콘텐츠, '베투맨(Bet2man)' 라이브 커머스

연예인 하하가 호스트로 진행하는 해당 라이브 커머스는, 이른바 '쇼핑대결'이라는 콘텐츠를 진행합니다. 브랜드와 대결 형식으로 '제한된 시간 동안 누가 제품을 더 많이 파나'라는 내용이 주를 이룹니다. 라이브 동안에는 이벤트 상품으로 하하의 사인이 담긴 DIY 티셔츠를 한정으로 판매하기도 합니다.
해당 콘텐츠는 제품 홍보 및 판매뿐 아니라, 시청자들에게 재미를 주는 요소가 함께 들어가 있어 더욱 호기심을 자극합니다. 앞으로는 해당 콘텐츠보다 더욱 발전된 형태로, 게임 등의 콘텐츠가 가미된 라이브 커머스도 등장하며 하나의 '엔터테인먼트'로 소비될 수도 있지 않을까 기대합니다. 

베투맨 쇼핑라이브

(2) 네이버 쇼핑 라이브 광고

다음으로 '라이브 커머스'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해주는 네이버 쇼핑 라이브의 광고를 공유합니다. 해당 광고는 '어민들이 만드는 온라인 가게의 경쟁력, 네이버 라이브 쇼핑'이라는 제목으로 광고되었습니다.

어민들이 직접 잡아올린 싱싱한 해산물을 직접 라이브 방송으로 보여주며 농어촌 재료들의 판매를 네이버 쇼핑 라이브가 돕는다는 내용의 광고입니다. 실제로 네이버 쇼핑 라이브 페이지에 들어가면 전통시장, 비닐하우스, 공장 등의 장소에서 지역 특산품을 판매하는 방송들을 여럿 볼 수 있습니다.

네이버 쇼핑 라이브가 추구하는 가치처럼, 높아지는 라이브 커머스 시장 및 D2C시장의 확대는 중소상공인들 및 1인 만매자들, 셀슈머들에게 유용한 기회로 다가갈 수 있을 것입니다.

youtu.be/RzLVq9Hoty0

 

 

* 참고 자료
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1/02/2021010200237.html

 

[2021 컨슈머]① “10분에 1억 매출”... 비대면 소비 이끄는 ‘라이브 커머스’

대신 입어주고, 바로 답해주고… ‘쌍방향 쇼핑’으로 주목 네이버 이어 쿠팡·배민도 합류… 2023년 10조 시장 전망온·오프라인 포용하는 차세대..

biz.chosun.com